샷온 이야기
다양한 이야기를 자유롭게 나누어 보세요!
게시판 뷰
- 제목
- [건의] 신규 유저 활성화를 생각한다면 [2]
- 작성자
-
내안에~
- 등록일
- 2013-12-06 14:07:07
- IP
- 182.224.**.50
- 조회수
- 587
신규유저가 활성화 되어 샷온의 운영이 잘된다면
기존 유저들에게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을뿐 아니라
아템을 팔기 위한 샷온의 무리수도 없을거라 봅니다.
신규 유저를 많이 활성화 하려면
*골프 겜 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죠.
-골프채와 골프공으로 사냥을 하며 골프 템을 습득 할 수 있는
18홀 사냥홀을 만들어 일반유저들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요?
신규 유저들의 접근성이 좋아지겠죠?
그렇게 하면 많은 신규 유저들이 활성화 될 것이고
골프채와 공으로 사냥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온라인 골프에 대한
흥미가 생길거라고 봅니다.
*블레 상자를 많이 팔려면
블레 명품에 대한 혜택도 중요하지만
강화지 가격이 지금 최대 8억에 거래됩니다.
그럼 강화를 위해 몇장을 사용해야 할까요.
제가 알기로는 평균 10장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
평균 7-80억의 엔지소모를 해야 된다는 거죠.
25억 엔지가 10만원 정도라고 하는데
30만을 사용하여 채 하나를 강화합니다.
첨에는 유저들이 강화에 덤비겠죠.
그 돈을 쓰묜서 계속 할까요?
점점 줄어들겠죠?
그리고 다른 유저들 강화 하려면 말리겠죠?
상자의 유해성 시비 계속 일어나겠죠?
멀리 바라본다면
블레 채 재활용 이벤해야 합니다.
실패한 블레 강화채를 재활용 하여
최소 한장의 강화지는 돌려줘야
어렵게 장만한 유저들이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강화지 회전이 가능합니다.
최소 한장의 강화지라도 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이 확보 되어야
유저들의 최소 자산 가치가 보장됩니다.
3.틱을 없애면서 겜이 원활하게 돌지 않아요.
겜을 하다보묜 홀아웃을 해줘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됩니다.
겜중 전화가 온다든지 급히 해결해줄 업무처리가 있다든지
그런 경우 홀아웃 해놓고 일을 봐야 합니다.
그런데 멀리건을 사용하고 홀아웃을 할 수는 없지 않나요?
그걸로 유저들이 많이 불편해하고 심지어 다투기까지 하지요.
틱도 겜의 일부라고 봅니다.
-샷발위_
기존 유저들에게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을뿐 아니라
아템을 팔기 위한 샷온의 무리수도 없을거라 봅니다.
신규 유저를 많이 활성화 하려면
*골프 겜 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죠.
-골프채와 골프공으로 사냥을 하며 골프 템을 습득 할 수 있는
18홀 사냥홀을 만들어 일반유저들도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면 어떨까요?
신규 유저들의 접근성이 좋아지겠죠?
그렇게 하면 많은 신규 유저들이 활성화 될 것이고
골프채와 공으로 사냥을 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온라인 골프에 대한
흥미가 생길거라고 봅니다.
*블레 상자를 많이 팔려면
블레 명품에 대한 혜택도 중요하지만
강화지 가격이 지금 최대 8억에 거래됩니다.
그럼 강화를 위해 몇장을 사용해야 할까요.
제가 알기로는 평균 10장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압니다.
평균 7-80억의 엔지소모를 해야 된다는 거죠.
25억 엔지가 10만원 정도라고 하는데
30만을 사용하여 채 하나를 강화합니다.
첨에는 유저들이 강화에 덤비겠죠.
그 돈을 쓰묜서 계속 할까요?
점점 줄어들겠죠?
그리고 다른 유저들 강화 하려면 말리겠죠?
상자의 유해성 시비 계속 일어나겠죠?
멀리 바라본다면
블레 채 재활용 이벤해야 합니다.
실패한 블레 강화채를 재활용 하여
최소 한장의 강화지는 돌려줘야
어렵게 장만한 유저들이
강화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강화지 회전이 가능합니다.
최소 한장의 강화지라도 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이 확보 되어야
유저들의 최소 자산 가치가 보장됩니다.
3.틱을 없애면서 겜이 원활하게 돌지 않아요.
겜을 하다보묜 홀아웃을 해줘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됩니다.
겜중 전화가 온다든지 급히 해결해줄 업무처리가 있다든지
그런 경우 홀아웃 해놓고 일을 봐야 합니다.
그런데 멀리건을 사용하고 홀아웃을 할 수는 없지 않나요?
그걸로 유저들이 많이 불편해하고 심지어 다투기까지 하지요.
틱도 겜의 일부라고 봅니다.
-샷발위_
댓글 [2]
댓글 리스트